2014년 5월 23일 금요일

XBMC and Transmission on Raspberry Pi

라즈베리파이를 미디어플레이어와 NAS로 사용하기

이전에 라즈베리파이에 포고플러그를 연결해서 사용했었던 적이 있었다. 한국에 돌어와서 포고플러그를 구입하려고 보니 중고가 4만원 정도에 거래되고 있었다. 내가 이전에 독일에서 산 가격이, 새 제품이면서 배송비까지 포함해도 20유로(3만원정도)가 안 되었었는데, 중고가가 4만원이라니 너무 비싸 보이는게 아닌가? 포고플러그 사도 어차피 라즈베리파이는 있어야 하니 그냥 라즈베리파이로 모든 걸 다해보기로 했다.

준비물은 라즈베리파이, SD카드, 유전원허브, 안 쓰는 2.5"HDD, HDMI 케이블, 랜선, MicroB 5핀 USB 케이블

라즈베리파이는 http://www.aliexpress.com/ 에서 케이스 및 방열판 포함해서 48 달러에 구매했다. 2014년 5월 24일자 달러 환율 기준. 1025.50 이니깐 대충 1030원 잡고 49,440원 지불

나머지 중 몇개는 집에서 굴러다니는 것 써도 된다. 새로 사야한다면 가격은 다음과 같다.
유전원 USB 허브 -노벨뷰(7포트, 5V2A), 배송료포함 G마켓 11,880원
트랜센드 SDHC class10 -  배송료포함 G마켓 7,880원
케이블은 컴퓨존에서 모두 구입(배송료 2500원)
컴퓨존 HDMI 골드 케이블 [1.4Ver] 2M - 2200원
컴퓨존 CAT.6 UTP 랜케이블 1M- 600원
케이블메이트 USB 2.0 (AM-Micro B 5핀) 케이블 1M- 1,100원
총 비용(HDD제외) 75,600원


연결은 유전원 허브에 HDD와 라즈베리파이의 전원을 연결하면 전원 1개로 라즈베리파이와 HDD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Raspbmc/HDD와 유전원 USB 허브의 연결 모양


이 모델의 가격은 위에서 적었듯이 7만5천원 부근이다. 미디어플레이어와 간단한 NAS를 포함한 가격으로는 무척 저렴한 것이다. 저렴한 Divx플레이어가 5만원정도, EFM네트웍스의 제품중 가장 저렴한 NAS제품이 배송료포함해서 9만원 정도하는 것을 생각하면 엄청나게 저렴하다.

그러나 나에게 매력적인 것은 전력사용량이다. EFM네트웍스 제품(2.5"HDD제품)의 전력사용량이 42W 정도다. 유전원 USB 허브 제품은 5V 2A 아답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최고 전력사용량이 10W를 넘을 수가 없다. 1/4 수준이다. 미디어플레이어가 사용하는 전력을 더할 경우 1/5, 1/6이 될 수도 있다. 
끄지 않고 사용해도 10W * 24 * 30 = 7.2KW만 사용한다. 물론 이건 풀로드가 걸렸을 경우 이야기이다. 대충 7KW 잡고 3만원사용하는 집의 누진세 적용 추가 전기료(1KW당 270원)는 1944원, 약 2천원이 나온다. 물론 가끔 사용한다면 천원만 나올 수도 있다.

가격은 7만6천원, 한달 전기료는 2천원. 정말로 저렴하다.
약간의 수고만 들인다면 저렴한 가격으로 남부럽지 않은 미디어플레이어와 NAS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댓글 1개:

  1. 안녕하세요. 라즈베리로 동영상+토렌트다운 구성 찾다가 들렀는데요
    라즈2로 돌렸을때 raspbmc로 동영상 돌리는건 무리없나요?
    openelec 5.0.5버전 깔아서 돌려봤는데 동영상은 잘재생되는데
    화면 중간중간 스킵하면서 보려고 하면 제대로 안되는거 같더라고요.
    사양이 너무 딸려서 안되는건지... 그냥 재생해놓고 아무짓도 안하면
    잘재생은 됩니다만.. 그리고 간혹 튕겨버리는 동영상도 있더라구요..
    raspbmc가 openelec보다 안정적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답글삭제